보드게임/보드게임 모임후기(송촌)

[모임후기] 2022.11.14. 글룸헤이븐 시나리오2 실패 (feat. 아이템상점, 16포켓 바인더 속지). 보드게임 모임 후기

멋진지니s 2022. 11. 17. 09:00
728x90
반응형

플레이한 게임

글룸헤이븐: 시나리오2 멋진지니, 큐티은아, 막내이모, 만서니 4인


참여인원

멋진지니: 야만인(브루트) 1레벨. 탱커겸 딜러. 가난함.

큐티은아: 땜장이(팅커러) 1레벨. 폭풍 힐러. 엄청 부자임.

막내이모: 무법자(스컨드럴) 1레벨. 최강 근접 데미지 딜러.

만서니: 바위심장(크레이그하트) 1레벨. 원거리 광역 딜러 겸 보조 탱커.


주 1회 1시나리오를 목표로 시나리오 2를 진행했습니다.

스포일러는 가급적 지양하겠지만,

* 조만간 글룸헤이븐을 시작하실 분.

* 어떤 정보도 알기를 원하지 않으시는 분이라면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게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스포일러는 하지 않지만,

저희 파티의 운영이나 진행 과정은 노출합니다.

시나리오2는 처음으로 보스가 등장하는 곳입니다.

아직 문을 열지 않았기 때문에 보스를 세팅하지는 않았습니다.

보스가 있는 방의 입구를 궁수 4마리가 막고 있습니다.

4대4의 진검승부!? 라고 하기에는 다소 약한 몬스터들입니다.

 

강도 궁수를 물리치고 던전으로 입장!!

던전안의 보스는 강도두목입니다.

살아있는 뼈를 마구 소환하고,

살아있는 시체들이 있는 방문으로 워프해서 문을 엽니다.

문이 열리면 살아있는 시체들이 서서히 다가옵니다.

 

저는 아직 초보라서 기본 카드 10장으로 진행했습니다.

X카드도 사용을 해보고 싶은데, 아직 스킬에 익숙하지가 않습니다.

스킬을 준비하고, 시나리오2 시작!!

아! 그전에 아이템 상점을 마련했습니다!

3공바인더 16포켓 4*4 속지를 20장 구입했습니다.

하비게임몰에서 팔고 있더라구요.

 

조금 빡빡한 느낌도 있지만 딱 맞아서 더 좋습니다.

아이템 상점으로 강추입니다!

 

상점용 아이템과 보물상자 드롭 아이템까지 모두 세팅했습니다.

궁수를 가볍게 물리치고 던전 입성!

소실 카드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

적은 턴으로 물리쳐서 손쉽게 진입했습니다.

몬스터를 밀기 스킬로 함정에 밀어넣으면 조금 더 효과적으로 사냥할 수 있습니다.

보스몬스터인 강도 두목입니다.

온라인 게임에서 레이드를 할 때도 미리 공부를 해야 클리어를 할 수 있습니다.

 

글룸헤이븐이 온라인 RPG게임과 정말 비슷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낄 수 있는 시나리오였습니다.

 

보스 몬스터 레이드를 하려면 미리 공부를 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강도두목은 살아있는 뼈를 끊임없이 소환하고,

살아있는 시체가 있는 방의 문을 여는 스킬을 갖고 있습니다.

 

저희 파티는 이번 시나리오에서 실패를 했습니다.

소환 몬스터를 사냥하는 기본이 안되어 있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개개인의 능력은 나름 괜찮았는데,

파티 리딩도 부족했고, 협동이 안되서 실패한 것 같아요.

이 던전을 클리어 하기 위해서는

강도 두목을 먼저 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 탱커인 제가 강도 두목과 아처를 붙잡아 두고,

팅커러가 힐을 하면서 문을 여는동안,

스컨드럴이 두목부터 차례로 독을 걸면서 약한 몬스터를 없애줘야 합니다.

살아있는 시체들이 뭉쳐서 오는건 바위심장이 광역딜해주고,

팅커러와 스컨드럴은 강도 두목 일점사하고,

강도 두목이 제거 되면 각자 잡몹처리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아직 실패한 상황이기 때문에

다음 도전에서는 저런 전략으로 진행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 사냥의 실패는 잡몹을 먼저 처리하려고 했던 것과

문을 너무 늦게 열었던 것이라고 생각해요.

실패하는 과정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팅커러가 던저의 돈을 싹쓸이 했습니다.

팅커러는 다음 플레이어서 꽤나 여유롭게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주에 시나리오2를 빠르게 클리어 하고,

서브 시나리오도 하면 좋겠는데...

 

실력이 아직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재미있는 글룸헤이븐 4인 팟입니다!!

얼른 클리어 하고 싶네요. ㅋ

 

728x90
반응형